*대면 수업을 원칙으로 하나 상황에 따라 비대면 강의(온라인 강의)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교육장소
서울대학교(관악캠퍼스) 보건대학원 최고위 과정 전용 강의실(221동 201호)
주요프로그램
Module 1.
보건사회복지정책의 현황 조망과 발전 방안에 대한 실무 전략 제시
보건정책결정
한국 보건정책의 추세와 과제
보건경제와 보건의료제도
의료비지출의 형평성
지역사회와 건강증진
노인장기요양
노후소득보장의 이해
국제보건의 이해
복지국가전략
Module 2. 환경 변화에 따른 보건정책의 패러다임 변화와 대응 전략 제시
보건의료산업 변화추세
대기오염과 건강
수질오염과 건강
미생물과 건강
환경독성과 환경노출
미세먼지와 건강영향
인공지능과 보건
Module 3.
연구방법론에 중점을 둔 보건학 지식기반 확립
빅데이터의 이해
통계에 대한 이해와 오해
유전체기반 정밀의학과 건강
NCD Framework
m-health
질병예방을 위한 식생활
Module 4.
고위직 관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 프로그램
정치와 경제
국제관계, FTA
남북관계
한국 사회, 문화
역사/민족/인류
ICT
음악/미술/체육/실내 스포츠
Module 5.
각종 공식행사 및 네트워크 증진을 위한 원우회 활동 참여
입학식 및 오리엔테이션
국내외 연수(기관방문)
원우회 구성
보건대학원 교수진의 논문지도
이수증서 수여식
국내 최고의 강사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진
성 명
소속 및 지위
고 광 표
환경보건학 교수
권 순 만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교수
김 선 영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교수
김 성 균
환경보건학과
김 승 섭
환경보건학과 교수
김 창 엽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교수
김 호
보건학과 보건학전공 교수
김 홍 수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교수
김 화 진
환경보건학과 교수
손 현 석
보건학과 보건학전공 교수
양 봉 민
보건대학원 명예교수
유 명 순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교수
유 승 현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교수
윤 충 식
환경보건학과 교수
이 기 영
환경보건학과 교수
이 우 주
보건학과 보건학전공 교수
이 태 진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교수
정 완 교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교수
조 경 덕
환경보건학과 교수
조 성 일
보건학과 보건학전공 교수
조 영 태
보건학과 보건학전공 교수
조 원 광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교수
최 경 호
환경보건학과 교수
황 승 식
보건학과 보건학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교수진
성명
소속 및 지위
강 상 경
사화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강 영 호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교수
강 원 택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교수
김 윤
의과대학 교수
김 은 미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교수
김 의 영
사화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교수
도 영 경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교수
박 상 민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교수
신 성 호
국제대학원 교수
안 상 훈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오 주 환
의과대학 의학과 교수
윤 순 진
환경대학원 교수
이 재 열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이 현 정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장 덕 진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장 인 성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교수
정 종 호
국제대학원 교수
조 동 준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교수
조 비 룡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교수
최 진 영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교수
외부강사
성명
소속 및 지위
윤 지 수
서울대학교 포스코 스포츠센터 요가 강사
# 상기 강사진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과정 특전
이수증서 수여 및 과정 공헌자 선발 포상
서울대학교 총장 명의의 이수증서를 수여하며 이수증서와 별도로 과정의 공헌자 및 우수 논문을 선정하여 공로패, 우수논문상, 표창장 등을 수여합니다.
서울대학교 및 보건대학원 동문자격
본 과정 수료자는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준회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총동창회 정회원, 보건사회복지정책과정 총동문회 정회원이 되며, 동문으로서 동창회에 참석하여 사회적 교류를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됩니다.
국내외 연수
본과정은 사회보장제도 및 건강보험관련 정책에 대한 이론을 배움과 동시에 다양한 의료계 기관을 방문하여 시야를 넓힐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국내외 기관의 방문 및 연수는 실무영역의 많은 것들을 보고 듣고 배울수 있어 현장 적용력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배움의 장이 되고 있습니다.